|

|
운동 중 심정지 시민…안동병원 직원이 심폐소생술로 생명 구해
|
2019년 06월 05일 [경북제일신문] 
|
|
| 
| | ↑↑ 안동병원 직원 김준영, 남선화씨 | ⓒ 경북제일신문 | | 운동 중 의식을 잃은 시민이 병원직원과 119 대원의 신속한 심폐소생술 및 응급처치 덕분에 생명을 구했다.
지난 4일 저녁 배드민턴 동호회에서 운동을 하던 김모(남·49세)씨가 휴식을 취하던 중 의식을 잃었다.
같은 동호회에서 운동을 하던 김준영씨는 이를 발견하고 즉시 응급처치를 시행했다. 안동병원 직원인 김씨는 응급구조사 자격을 갖고 있고 병원에서 심폐소생술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했기에 침착하게 119에 신고해 줄 것을 요청하고 흉부압박을 시행했다.
10여분동안 심폐소생술을 시행하는 동안 동호회원인 남선화씨는 환자의 턱을 들고 혀가 말려들어가지 않도록 기도를 확보했다. 남씨 역시 안동병원 직원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정기적으로 이수했다.
이후 도착한 119대원이 심장제세동기를 시행하여 환자의 맥박이 돌아와 병원으로 긴급 이송했다.
안동병원 경북권역응급의료센터로 이송된 환자는 심근경색증 진단을 받고 즉시 응급심혈관중재시술을 받았다.
김건영 안동병원 병원장(심장내과 전문의)은 “환자는 심장으로 가는 좌우 큰 혈관이 막힌 상태로 심폐소생술 등 초기 응급처치가 없었으면 사망할 가능성이 매우 높았으며, 다행히 일찍 발견하고 초기 응급처치와 심장제세동이 시행되고 신속하게 병원에서 전문치료를 받을 수 있어서 생명을 구할 수 있었다”고 전했다.
환자는 응급심혈관조영술로 좌전하행지 및 우측관상동맥에 2개의 스텐트 시술을 받고 현재 심뇌중환자실에서 경과 관찰 및 회복 중에 있다.
김연우 경북권역응급의료센터장(응급의학과 전문의)은 “심정지 환자의 소생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생존사슬(chain of survival)’이 중요하다”고 말한다.
심정지 환자의 생존사슬은 조기발견-신속한 신고-신속한 심폐소생술-신속한 심장충격(제세동)-효과적인 전문소생술과 통합치료 등 5단계로 각 단계별로 시민과 119, 병원의료진의 역할수행이 제대로 맞아야 한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