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미 성리학역사관 개관
|
2020년 10월 22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10년이란 오랜 기다림의 여정을 지나 ‘구미성리학역사관’(이하 역사관) 이 문을 열었다.
구미시는 23일 오후 3시 구미성리학역사관 기획전시실 앞 광장에서 구미성리학역사관 개관식을 개최한다.
구미시 금오산 아래 자락(금오산로 336-13번지)에 위치한 역사관은 2010년 문화체육관광부의 3대문화권 문화관광기반조성사업의 일환으로 84,285㎡부지에 2,701㎡건축연면적의 규모로, 역사관 전체 시설은 전시관 3개동과 체험관 3개동, 강당 등이 있는 1구간과 카페동이 있는 2구간이 있다. 그리고 2016년 개관한 야은역사체험관은 부속시설로 운영된다.
주요시설로 전시관(3개동)은 구미역사관, 성리학전시관, 기획전시관으로 △구미역사관은 구미연표, 고지도속의 구미, 문화유산 등 △성리학전시관에는 야은 길재를 비롯한 구미 출신의 성리학자와 성리학 관련 자료 △기획전시관은 연 2~3회 특정주제를 선정하여 기획전시할 계획으로 개관기념 첫 기획 전시로 ‘구미의 서원-금오서원’ 편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체험·교육프로그램은 선비대학, 일반인 강좌, 어린이·가족 프로그램 등 역사를 새롭게 인식할 수 있는 시설로 타 기관과 차별화된 내용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2구간에 위치한 한옥 문화카페는 성리학역사관 방문객들이 다과를 즐기며 쉬어갈 수 있는 곳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택리지의 저자인 이중환은 전해오는 말에 “조선인재의 반이 영남에 있고, 영남 인재의 반은 일선(구미)에 있다”고 했다. 구미가 조국 근대화의 산실이었을 뿐만 아니라 이미 조선시대 성리학 발전의 근원지였음을 말해주고 있다. 즉, 구미 시민의 문화적 자긍심을 고양할 장이 마련된 것이다.
이제 야은 길재로부터 시작된 조선 성리학과 구미의 역사 인물에 대해 전시하고 교육·연구·체험하는 제1종 전문박물관 시설로서, 전통과 첨단 그리고 과거와 미래가 공존하는 문화시설이 마련되었다. 그리고 관람 위주의 정적인 공간이 아닌 첨단매체를 활용하여 생동감있는 체험이 가능하게 꾸며져 있으므로 어린이와 청소년들에게는 역사와 문화를 배우는 교육장으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장세용 구미시장은 “역사가 과거에 박제된 것이 아니라 역사 속에서 생활의 지혜를 배우고 친근감 있게 접근할 수 있는 곳으로 인식될 수 있도록 역사관이 역할을 할 것이며, 옛 성현들이 남긴 유산을 보고, 책도 읽고 토론하며 맑은 공기와 경관으로 시민들에게 힐링의 장소가 될 수 있는 복합문화공간으로써, 10년이란 긴 여정으로 건립된 역사관인 만큼 구미의 또 다른 랜드마크로 키울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한편, 구미시는 역사관 개관식 다음날인 24일에는 오전 10시부터 개관기념 학술대회를 대구사학회와 공동으로 개최한다. 학술대회는 ‘역사학, 영남을 말하다’라는 주제 아래 신라시대 이래 한국 역사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 경상도, 특히 경주, 선산, 진주, 부산 등 주요 4개 도시의 역사적 전통과 가치를 재발견한다.
1부에서는 김학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의 ‘야은학, 송당학, 그리고 여헌학’을 주제로 선산과 구미 지역의 학맥에 대한 기조발표와, 이영호 경북대학교 교수의 ‘신라의 왕경에서 고려의 경주로’라는 주제로 발표를 한다.
2부에서는 김성우 대구한의대학교 교수의 ‘15~16세기 인재의 부고, 선산’, 김준형 전 경상대학교 교수의 ‘조선시대 경상 우도의 중심지 진주’, 손숙경 부산가톨릭대학교 조교수의 ‘부산의 근현대와 새로운 지역연구성과’에 대해 발표를 한다. 이번 역사관 개관기념 학술대회는 역사학 연구자가 아니어도 관심 있는 시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역사관 운영시간은 09시부터 18시까지이며, 휴무일은 1월1일, 설날 추석 당일, 매주 월요일이다. 문의사항은 성리학역사관 사무실(480-2685)로 문의하면 된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