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도시철도, 유휴 공간 개발로 수익창출·이용편의 높인다
|
- 동대구역 등 4개 역에 임대상가 18개 조성, 10년간 27억 원 수익 창출 -
|
2019년 07월 26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강창역 약국개설> | ⓒ 경북제일신문 | | 대구도시철도 1호선 동대구역 대합실, 이곳에서는 승객뿐만 아니라 미용건강코너에서 화장품을 고르고 서점에서 책을 읽고, 커피점에서 테이크아웃하려는 쇼핑객으로 활기가 넘친다. 역사 공간개발을 통한 9곳의 상가조성이 가져 온 새로운 풍경이다.
대구도시철도공사(사장 홍승활)는 동대구역 등 4개 역사 유휴 공간에 임대상가를 조성하는 지하 공간 개발 사업을 마무리하고 7월 29일(월)에 준공한다고 밝혔다.
이번 상가 개발 사업은 1호선 상인역․서부정류장역․동대구역, 2호선 강창역 등 4개역 유휴 공간(2,927㎡)에 임대상가 18개․사무실 3개를 조성하는 사업이다. 조성된 상가에는 편의점․약국․서점 등 시민친화업종이 입점했다. 동대구역에는 중고서점․드럭스토어․생활 잡화 브랜드 등이다.
강창역에는 약국을 개설해 역사 내에서도 약을 구입할 수 있게 됐다. 특히 이번 약국 개설은 규제개혁을 이끌어낸 대표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다. 그간 역사 내 약국개설은 관련규정이 없다는 이유로 관련부처로부터 불가결정을 받았었다.
하지만 공사는 과도한 행정규제 개선을 위해 6개월에 걸친 끈질긴 협의 끝에 약국 개설을 이끌어냈다.
이들 역사 중 상인역과 동대구역은 상가조성과 함께 대합실 리모델링을 병행해 휴게공간이 추가 설치됐다. 이로써 도시철도 전 역사에는 편의점이 18개소에 달할 정도로 시민들에게 더욱 친숙한 공간이 되었다.
한편 공사는 이번 사업으로 10년간 안정적으로 27억원의 부대수익을 올릴 수 있을 뿐만 아니라 200여명의 일자리 창출효과도 기대하고 있다. 또한 역사 리모델링도 함께 진행해 노후 역사 환경개선비용도 20억 원 절감했다.
공사는 내년에도 반월당환승역과 강창역을 추가로 개발할 계획이다. 현재 사업제안 공모를 실시해 민간사업자 선정을 마치고 대구시에 타당성 조사용역을 의뢰해 놓은 상태이다. 사업시행으로 약 30억원의 부대수익을 추가로 올릴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홍승활 대구도시철도공사 사장은 “공사는 금년 들어 부가통신사업 51억 원, 집단상가 임대수익 18억 원, 광고수익 50억 원 등 총 120억 원 정도의 부대수익을 올려 전년대비 15%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며“앞으로도 고객의 이용편의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수익도 창출하는 창의적 사업모델을 지속적으로 발굴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