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병원,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 지정
|
2019년 08월 03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안동병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으로 지정받아 오는 5일부터 연명의료결정제도에 대한 상담과 등록업무를 지원한다.
연명의료결정제도는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무의미한 연명의료를 시행하지 않거나 중단할 수 있는 기준과 절차를 마련해 국민이 삶을 존엄하게 마무리 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제도이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향후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가 되었을 때를 대비해 자신의 연명의료에 대해 스스로 중단 여부를 결정하고 호스피스에 관한 의사를 미리 의사를 밝혀두는 것으로 언제든지 철회할 수 있다.
안동병원은 입원환자의 연명의료 관련 심의와 상담, 결정을 지원하는 병원 윤리위원회도 설치하고 복지부에 등록했다.
윤리위원회는 의사, 간호사, 사회복지사, 종교인, 외부 위원 등 10명으로 구성했으며 임종과정에 있는 환자와 그 환자가족 또는 의료인이 요청한 사항을 심의하고 결정관련 상담활동을 한다.
연명의료의 중단이 결정되면 심폐소생술·인공호흡기·혈액투석·항암제투여 등 의료행위뿐 아니라 체외생명유지술(ECLS. 심장이나 폐순환 장치), 수혈, 승압제 투여 등 생명만 무의미하게 연장할 뿐인 의학적 시술을 중단하거나 유보할 수 있다.
연명의료의 중단 및 유보는 ▲건강할 때 미리 ‘사전연명의료의향서’를 신청하거나 ▲환자가 직접 '연명의료계획서'를 작성하는 경우 ▲‘평소 환자가 연명의료를 원하지 않았다’고 가족 2명 이상이 일치된 진술을 하는 경우 ▲환자의 뜻을 모를 때 가족 전원이 동의할 경우 의료기관 윤리위원회 결정에 따라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
호스피스·완화의료 및 임종 과정에 있는 환자의 연명의료 결정에 관한 법률은 2018년 2월4일 도입됐다.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연명의료 유보나 중단을 결정한 환자는 6월 말 기준으로 5만3천900명(남성 3만2천460명, 여성 2만1천440명)으로 주로 암, 호흡기질환, 심장질환, 뇌질환 등을 앓다가 존엄사를 결정했다고 밝혔다.
사전연명의료의향서는 만 19세 이상 신청이 가능하며 신분증을 지참해 안동병원 또는 가까운 사전연명의료의향서 등록기관을 방문해 상담 받을 수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