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경산, 시내버스로 한식구 됐어요!
|
- 11.26(수) 11:00 시청별관, 대구-경산축 BIS 구축사업 완료보고회 -
|
2008년 11월 25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대구-경산축 광역버스정보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 구축 사업 완료보고회를 국토해양부, 대구시, 경산시 관계자 및 대학교수, 사업관리단 등이 참석한 가운데 11월 26일 오전 11시 시청별관 회의실에서 개최한다.
대구-경산축 광역버스정보시스템(BIS : Bus Information System) 구축 사업은국토해양부와 지방자치단체(대구, 경산)가 공동으로 추진하여 삼성SDS 컨소시엄에 의해 진행되었으며, 2007년 12월에 사업을 시작하여 11개월의 사업기간을 거쳐 이번에 완료보고회를 개최한다.
이번 사업 완료로 대구와 경산구간을 운행하는 모든 시내버스들의 운행정보들이 실시간으로 수집돼 상호 제공됨으로써, 대구와 경산 시민들은 어느 지역 시내버스를 타든지 도착 예정 시간을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대구 시민들은 대구 지역을 운행하는 경산시 시내버스들의 도착 예정 정보를 시내 전역 350개소(전체 정류소의 14%)에 설치된 정류소안내기와 5개 도시철도 역사에 설치된 도시철도역내 안내기를 통해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되었다.
경산시 또한 이번 사업으로 경북 23개 시․군 중에는 최초로 시 전역에 설치된 88개 정류소안내기를 통해 시내버스의 도착예정 정보를 서비스할 수 있게 되었다. 아울러 광역 BIS 구축으로 경산시 구간을 운행하는 대구시 소속 버스의 도착예정 정보까지도 경산시 버스와 동일하게 안내기를 통해 서비스 받을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정류소안내기를 이용한 시내버스 도착 예정시간 뿐만 아니라 홈페이지를 통한 출발-도착지 검색서비스, 노선검색 서비스, 휴대폰을 통한 서비스 등 기존 대구시가 시행하던 서비스도 경산시와의 자료 연계로 함께 서비스하게 되는 등 한층 업그레이드된 서비스가 가능해졌다.
특히 학원 도시라 불릴 정도로 대학들이 밀집되어 대구에서 시내버스 통학 수요가 많은 경산지역 대학의 경우, 버스를 이용하는 통학생들에게는 아주 유용하고 반가운 서비스로 자리 잡을 예정이다.
이용에 대한 상세 정보는 대구시 버스노선안내홈페이지(http://businfo.go.kr)와 경산시 버스노선안내홈페이지(http://bis.gbgs.go.kr)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대구시는 시민들의 빗발치는 설치요구에 턱없이 부족한 정류소안내기를 향후 확대 설치할 예정이며, 정류소안내기가 없는 곳에서는 휴대폰을 이용하여 도착하는 모든 버스의 도착예정정보를 한눈에 확인 할 수 있도록 서비스하고 있다.
(8003# + 정류소번호 + 인터넷버튼)
또한 야간이나 흐린 날씨에도 노선번호 또는 행선지명의 식별이 쉽도록 LED전광 행선판을 시내버스 전면상단에 시범적으로 35대 설치하였으며, 전국 최초로 장애인용 시내버스노선안내 홈페이지서비스(http://friend.businfo.go.kr)를 제공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