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낙동강 수계 1,300만명, 머리에 독극물 이고 산다”-안동-
|
- 김광림 의원(안동시. 한나라당), 국회 예결특특위서 낙동강 상류 종합적인 환경역학조사 실시 촉구 -
|
2008년 11월 26일 [경북제일신문] 
|
|
김광림 의원(안동시. 한나라당)은 26일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이하 예결위) 경제부처 질의에서 “낙동낙수계 1,300만명이 머리에 독극물을 이고 산다”고 주장했다.
다음은 김광림 의원의 질의서 요약본
□ 지난 7/25, 경북북부지역 폭우(춘양 230㎜, 석포지역 360㎜)
○ 봉화지역 박희태 대표 등 한나라당 지도부 방문
○ 그런데 피해는 사람만이 아니라 낙동강 상류 50㎞구간
- 민물고기들도 떼죽음 당함(지역주민들은 95% 죽었다 주장)
- 쏘가리, 꺽지, 모래무지, 은어 등 우리 토속어종 몰사
※ 집중폭우 이후 물고기가 떼죽음 당하자 수석인, 낚시인 등 현지 탐사현장 사진촬영 등 증언
※ 봉화․안동지역 주민, 낚시동호인, 어업인, 수석인 등
낙동강 환경대책 서명운동 전개 中
□ 이런 현상은 홍수가 집중되는 해는 어김없이 나타남
○ 1999년 장마 때도 물고기 떼죽음(2000.5/10 내일신문 보도)
□ 이같은 원인에 대해 지역주민과 환경단체 등은봉화군 석포면 (주)영풍제련소 지목
※ 영풍제련소: 1970년 (주)영풍광업이 일본의 동방아연과 기술제휴 설립.연산 30만톤 아연괴 생산, 자회사 고려아연(온산공단)의 생산능력을 포함하면국내 아연판매의 80% (공정과정에서 카드뮴 등 유해 중금속 배출 됨)
※ 대마도 위치한 동방아연제련소: 배출 카드뮴에 주변 주민 21명의 이타이이타이병 발병.1960년대 일본사회를 발칵 뒤집어 놓음
※ 이타이이타이병: 1960년 일본 동방아연제련소에서 배출하는 카드뮴에
장기간 노출되었던 지역주민들이 심한 요통․고관절통을 일으키고점차 보행곤란, 사지와 늑골의 병적 골절, 전신위축, 폐기종 등을 일으켜합병증으로 사망(258명 카드뮴 중독증을 보였고, 그 중 128명이 사망)한 일로유명해졌고, 엄청난 고통 때문에 “아프다 아프다”고 해서 그렇게 이름 붙여진 병.
수은 중독으로 인한 ‘미나마타병’과 함께 전후 일본 사회를 중금속 공포로 뒤흔들어 놓음.
※ 미나마타병: 수은중독으로 인해 발생하는 다양한 신경학적 증상과 징후를 특징으로 하는 증후군이다. 1956년 일본의 미나마타현에서 메틸수은이 포함된 조개 및 어류를 먹은 주민들에게서 집단적으로 발생하면서 사회적으로 큰 문제가 되었다. 문제가 되었던 메틸수은은 인근의 화학 공장에서 바다에 방류한 것으로 밝혀졌고, 2001년까지 공식적으로 2265명의
환자가 확인되었다. 1965년에는 니가타 현에서도 대규모 수은중독이 확인되었다
○ 지난 홍수에도 석포 제련소 상류 쪽에서는 물고기 폐사가 없었음.
○ 제련소 밑에서부터 죽어있었고,10㎞ 떨어진 승부역부터 안동 도산면 가송리(청량산)생물체 거의 폐사
□ 낙동강 본류 바로 옆에 자리 잡은 이 공장(사진 1)에서는
○ 91년 황산을 실은 15톤 탱크로리 전복
○ 94년 황산누출, 96년 유독성 산업폐기물 불법매립
○ 98년 황산탱크로리 전복, 2002년 5월 담수 저수조 폭발사고 등크고 작은 환경사고 끊이지 않음
○ 공장 뒤편 산위에는유독성 아연용액을 가득 채운 8,800여평의 침전 저류조(사진 2)
※ 황산제조공정 과정에서 하루 460톤에서 700톤의 폐수 발생(소석회 중화방법으로 완벽 처리 방류 한다고 공장측은 밝힘)
○ 1,300만명 식수원 머리위에 독극물을 이고 있는 형국
○ 이곳에서 하루 1800~2000톤의 폐수 방류
○ 환경이 좋지 않은 단적인 예는 인근야산 고목들이 말라죽자제련소측에서 매입, 다시 나무를 심음
○ 공장에서 10여㎞ 떨어진 사람이 닿지 않는
청정지역 양원역(사진3) 부근부터 원인 알 수 없이 급격히 수질악화
□ 문제는 1970년 이후 40여년간 거듭되는 문제제기에도
※ 수차례 반복 보도, 국정감사(’01.9.24 한나라당 서병수 의원, 2002 전재희 의원) 등
○ 낙동강 상류(석포 영풍제련소~안동댐 50㎞ 구간)와 영풍제련소 주변지역에 대한
환경역학조사가 단 한번도 실시 안 됨
○ 2000년 건동대 신덕구 교수가 발표한<안동댐상류 하천수 및 저질의 중금속 분포> 연구 보고서에 의하면
- 안동호 밑바닥에 깔려 있는 저질(뻘)에상류 하천의 6.7~114.5배에 이르는 카드뮴이 농축 된 것으로 드러남
○ 영풍제련소 하류 낙동강변에는 맹독성 비소 다량 함유한 폐광미 더미들(사진 4)이
청량산 하류지역까지 방치됨
□ 낙동강 환경관리청은 집중호우시 물고기 떼죽음의 원인을
○ 비점오염원(논․밭 등)으로부터의 오염물질 유입에 따른 수질악화로 봄
○ 그러나 환경전문가들은 갈수기 물고기 폐사는 있을 수 있지만홍수시 물고기 폐사는 일반적 경우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
(물이 불어나면 오히려 오염농도가 옅어짐)
○ 수자원 공사에서도 문제점 인식, 연구제안 상태(댐유역관리처)
□ 현재 환경관리공단의 낙동강수계 측정소는 17개소(전국 49개소)로안동호 상류에는 없음
※ ’09년 계획 : 전국 56개소, 낙동강 수계 18개소
○ 2001년 환경관리공단 측정관리처 용역수행 결과
- 낙동강 상류(안동댐 위) 수질사고가 많아 봉화 명호에 측정소 설치 필요성 제기
□ 그러나 환경부에서는 수자원공사가 수질자동측정망을 운영중이고(안동댐 3개소 : 유입지점, 댐내, 방류지점)
○ 오염사고 업소감시가 이루어지고 있는 상태로
- 설치시 중복투자 논란으로 임하댐으로 설치 위치 변경
○ 그러나 임하호는 수자원공사 수질자동측정망이 9개나 가동, 설득력 떨어짐
○ 또한 수자원공사에서 가동하는 수질자동측정망은 탁도 측정이 주 기능
☞ 환경부 장관님, 낙동강은 1,300리길(525.15㎞)에 살고 있는 1,300만명의 식수원.지금이라도 낙동강 상류지역의대기, 수질, 분진, 토양, 저질 등에 대한 종합적인 환경역학조사를 실시해야.또한 사고 때마다 원인으로 지목되는
석포영풍제련소와 그 주변 환경에 대해서 엄정한 조사 필요.낙동강 상류 50㎞에 쌓인 폐광미 더미에 대한 조사와해결방안도 내 놓아야 함.당장 내년에 낙동강 상류 지점에 수질측정소를 설치를 요청함.이에 대한 장관님의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