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보이스피싱 ‘우체국 택배’ 사칭 최다
|
- “정부보조금 주겠다” 불황 틈탄 신종수법도 등장 -
|
2009년 03월 06일 [경북제일신문] 
|
|
지난 한 해동안 ‘110 정부민원안내콜센터’에 접수된 보이스피싱(전화 금융사기) 신고 건수는 총 77,177 건이었고, 피해액은 22억 여원(월평균 1.8억원)에 달했다. 또한, 우체국 택배를 가장한 사칭이 36,078건으로 전체 신고건수의 46.7%를 차지해 가장 많았다.
※ 피해액 22억여원은 110콜센터에 신고된 피해액만 집계한 것으로, 신고되지 않는 금액까지 감안하면 실제 피해액은 훨씬 더 클 것으로 추정됨
국민권익위원회(ACRC·위원장 양건)는 정부민원을 상담해주는 110 콜센터에 지난해 접수된 보이스피싱 관련 피해신고 결과와 구체적인 사례를 공개하고, 유사 피해를 막기 위한 행동지침을 만들어 발표했다.
※ 보이스피싱(Voice Phishing) : 전화를 통해 개인 정보를 빼내가거나 자금이체 등의 방법으로 현금을 편취하는 사기수법. 음성(Voice)+개인정보(Private data)+낚시(Fishing)의 합성어
보이스피싱 피해를 입지 않으려면 평소에 사기수법과 피해예방, 대응방법을 미리 숙지하고 있는 것이 좋다.
고전적인 사기수법으로는 ▲ 세금 및 보험료를 환급해 주겠다고 속이는 환급빙자형, ▲ 범죄사건 연루를 가장한 ‘수사기관 사칭형’, ▲ 우편물 반송 및 카드 부정발급을 가장한 ‘우체국직원 사칭형’, ▲ 자녀가 납치되었다며 돈을 요구하는 ‘납치 빙자형’등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 인터넷 메신저로 주소, 주민등록번호, 가족, 친구 관계 등을 미리 파악하여 지인으로 가장, 계좌이체를 시키거나 ▲ 법원통지서 등을 팩스로 먼저 발송해 믿게 한 후 사기전화를 걸거나 ▲ 정부에서 서민을 위해 각종 보조금을 지원해 준다며 사칭하는 신종수법까지 개발되고 있다.
발신번호 역시 060, 080 등의 특수전화번호에서 일반전화번호로 바뀌는 추세이고, 무작위로 전화하던 초창기와 달리 개인정보를 다른 경로로 파악한 후 전화하는 등 한층 진화하고 있다.
전화금융사기 의심이 들면 국민권익위에서 운영하는 110콜센터(☏ 국번없이 110번)」에서 상담받을 수 있으며, 직접 피해를 입었을 경우 즉시 가까운 경찰서에 신고하거나 주거래은행에 지급정지 요청을 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다.
또한, 주민번호 등 개인정보를 이미 노출시켰을 경우에는 금융감독원이나 거래은행에 연락해 「개인정보노출 사고예방시스템」을 이용해 최대한 추가 피해를 줄여야 한다.
110콜센터 김안태 과장은 “수사기관이나 금융기관, 국세청, 법원 등 우리나라 어떤 기관에서도 개인정보나 금융거래 정보를 전화로 물어보지 않는다는 것과 현금지급기로 환불을 해주는 경우가 없다는 것만 확실히 기억하면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라고 당부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