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지사, 수출용 신형 연구로 유치 노력
|
- 교과부, 국회, 관련기관 방문 건의, 도 全행정력 집중 -
|
2010년 07월 21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상북도가 수출용 신형 연구로 유치에 나섰다. 사진은 지난 3월에 열린 원자력산업 육성방안토론회에서 김관용 경북도지사가 원자력산업의 중요성에 대해 역설하는 모습 (사진:경북도청) | ⓒ 경북제일신문 | | 김관용 경북도지사는 교과부에서 진행중인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의 유치를 위해 21일 교과부, 국회, 관련 기관을 방문해 경북의 유치 당위성을 강력하게 홍보하고 협조와 지지를 요청했다.
수출용 신형 연구로 사업은 2011~2015년까지 국비 2천 500억원 들여 13만㎡의 면적에 연구용 원자로, 방사성동위원소(RI) 생산시설 등을 건립하는 사업이다.
김 지사는 이날 경북의 유치 당위성으로 연구로 사업을 통해 생산되는 방사성 동위원소의 최대 수요처인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가 조성되고 있음을 강점으로 내세우고, 또한 연구로의 중성자 도핑을 통한 전력반도체 사업 활성화가 가장 적합한 지역임을 주장했다.
또한 원전 10기 보유와 추가건설 6기, 중저준위 방폐장 건설, 양성자 가속기 건설, 한수원 본사 이전 등 국내최대의 원자력 관련 인프라 보유하고 있음을 알렸다.
또한 연구로 뿐만 아니라 향후 국가 원자력 사업을 하기 위한 추가 원자력 관련 부지확보가 가능(150~250만평)하여 국가적으로 원자력 관련 사업의 일괄 집적이 가능함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교통면에 있어서도 김해, 울산, 대구공항 등이 인접해 있고, 경부, 동서5축, 동서6축, 포항 울산간 고속도로 등 우수한 도로교통과, 영일만 신항, KTX 경주역 등 타 지역에 비해 우수한 교통 여건을 가짐을 설명했다.
경북도의 유치신청 지역으로는 경주시, 영덕군, 울진군이 신청 연구로 부지 및 진입도로 무상 제공과 건설비 일부 부담 등의 인센티브를 제시했다.
또한 국가의 원자력 현안사업에 필요한 추가적 넓은 부지 확보 가능과 타 자치단체와 차이점으로 부각시키며 유치에 전 행정력을 집중해 나가고 있다.
유치경쟁 지역 및 추진일정은 지난 7월 2일 마감한 연구용 원자로 유치 신청에 부산(기장), 울산(울주), 대전(유성), 전북(익산, 정읍), 강원(동해), 경북(경주, 영덕, 울진)등 총 9개의 지자체가 유치의향서를 제출했다.
향후 일정으로는 오는 23일까지 유치계획서를 제출하고, 27일 서류접수 및 프리젠테이션이 있은 후, 28일 현장실사를 통해 30일 최종 후보지를 선정할 계획이다.
국가적으로는 전량 수입에 의존하는 방사성 동위원소(RI)의 국내 소비량 100%를 공급해 수입대체 효과 거둘 수 있으며,지역적으로는 150여명 이상의 연구인력의 상주로 원자력 관련 고급 인력의 유입이 이루어질 전망이다.
반감기가 짧은 방사성 동위원소의 취급 특성상(2~3일 이내에 소멸되는 특성을 지님) 관련기업은 연구로 주변에 위치하여야 시너지 효과 발생하므로 방사성 동위원소 취급 관련 기관 및 기업체가 집적될 가능성이 높아 세계적인 방사성 동위원소 수출 및 연구 기지로 발전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또한 연구로를 통해 원자력 분야의 연구, 실증, 발전까지 통합된 경상북도의 원자력 클러스터 조성 사업에 큰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