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 시내버스요금 7월 1일부터 인상
|
- 2006년 10월 이후 4년 8개월만에 일반 현금 100원, 카드 150원 -
|
2011년 06월 07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4년 8개월간 동결된 시내버스와 도시철도 요금을 인상하기로 했다. 대구시는 지난 3일 지역경제협의회(공공요금 물가분과위원회)를 열어 일반버스 및 도시철도 요금을 일반인 현금기준 1,100원에서 1,200원으로 100원(9.1%)인상, 카드기준 950원에서 1,100원으로 150원(15.8%)인상하는 안을 확정했다.
이번에 시가 대중교통요금을 인상하는 것은 2007년 이후 지난 4년간 소비자 물가와 생산자 물가가 각각 연평균 3.2% 및 3.4%% 상승되었고, 인건비/연료비 등의 인상에 따라 시내버스 표준운송원가가 14.3% 증가한 반면, 운송수입금은 5.4% 증가에 그쳐 대구시의 재정지원금이 ’07년 564억원에서 ’10년 889억원으로 증가하여 불가피하게 조정하게된 것으로, 인상수준은 2010년 운송원가 1,291원의 80%수준으로 ’06.10.28 대중교통 통합요금제를 시행하면서 조정(800원→950원)한 후 4년 8개월만이다.
요금조정 내용을 보면 일반버스의 경우 일반인은 현금 1,100원에서 1,200원, 카드 950원에 1,100원이고, 청소년은 현금 800원에서 900원, 카드 670원에서 770원이며, 어린이 요금은 출산장려 시책에 적극 부응하고자 동결(현금 500원/카드 400원)하고, 보호자와 동반하는 6세미만 어린이의 경우 3명까지 무임승차하도록 했다(별첨표).
타 도시의 경우, 부산시는 지난해 11월 26일 일반인 카드기준 950원에서 1,080원으로 인상하였고, 대전시과 광주시도 대구와 같은 수준으로 7월 1일 인상을 확정하였으며, 서울․인천․경기 등 수도권도 일반인 카드기준 900원에서 1,100원으로 8~9월 인상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 관계자는 “대중교통요금 인상으로 서민의 부담이 되는 것은 사실이지만 대중교통 통합요금제 시행 이후 4년 8개월간 요금이 동결된 반면 운송원가의 상승으로 대구시의 재정지원금이 증가함에 따라 불가피하게 인상하게 되었다”면서, “대중교통 활성화 시책과 친절운동을 적극 추진하여 서비스 향상을 도모하여 운송원가를 절감함과 아울러 대구시의 재정지원금도 최대한 줄여나가겠다.”라며 협조를 당부했다.
한편, 2010년도에 대구시가 시내버스 업체에 지원한 재정지원금은 889억원으로 무료환승금액 567억원, 청소년/어린이 할인금액 150억원, 달성군 등 비수익노선 운행손실금 100억원 등으로 시민들의 교통복지금으로 불가피한 측면이 있으며, 요금이 조정되면 시내버스는 연간 296억원, 도시철도는 108억원의 수입이 증대되어 대구시의 재정지원금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