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맞춤형 귀농·귀촌시책 수립 발표
|
- 2020년까지 귀농인 1만5천가구 안정 정착 목표 -
|
2011년 10월 13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는 IMF 금융위기 이후 농촌에서 ‘인생 이모작’을 꿈꾸는 도시민들이 매년 증가함에 따라 침체된 농업・농촌에 신활력을 불어넣기 위해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맞춤형 귀농・귀촌시책’을 수립하여 13일 농업인회관에서 선도 귀농・귀촌자 및 귀농・귀촌 희망자 등 3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사업설명회를 개최했다.
이날 발표한 ‘맞춤형 귀농・귀촌지원 시책’은 귀농・귀촌자의 안정적인 조기 정착과 미래 우수 농업인력의 체계적인 확보를 위해 기존의 생계형 지원 시스템에서 영농목적형, 농촌체류형, 전원생활형 등 유형별로 보완, 재정립하여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으로 추진할 방침이다.
주요 추진내용은 귀농・귀촌자들의 안정적인 조기 정착을 위해 ‘준비에서 정착’까지 One Stop Service를 제공하기 위한 귀농코디네이터 육성, 멘토링제(귀농인-지역지도자-공무원), 귀농・귀촌 가이드북 제작, 경북농민사관학교를 통한 귀농인 교육과정 확대 및 수준별 맞춤형 교육과정 등을 시행한다.
또한, 지역사회에 동화 융합분위기를 조성하기 위해 귀농・귀촌 한마당잔치, 결혼이주여성 후계농업인 육성과 귀농・귀촌 실태조사, 민간 귀농모임 활성화 및 귀농・귀촌 모니터링 등 다양한 시책을 적극 추진한다.
더불어 사람과 돈이 모이는 활기찬 농촌 건설은 물론 “경북도에서 새일터, 새희망”을 찾을 수 있도록 20120년까지 귀농・귀촌 1만 5천가구 안정적인 정착을 목표로 하고 있다.
김관용 도지사는 사업설명회 인사말을 통해 경북 귀농・귀촌포럼 구성 운영 및 맞춤형 귀농・귀촌시책 추진으로 “침체된 농업・농촌에서 벗어나 돈이 되고 사람이 찾아오는 농촌 건설에 기여 할 것”이라면서, 이를 위해 “귀농 준비 단계부터 안정 정착까지 철저한 멘토링제와 귀농인들이 지역사회로의 동화․융합되는 기회제공 및 귀농・귀촌자 자생 모임 활성화 지원 등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