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 향후 5년간 지역관광발전을 위한 실행전략 제시
|
2012년 01월 04일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는 관광진흥법 제49조에 근거한 5년 단위(2012~2016년)로 수립하는 법정계획인 “제5차 경북권 관광개발계획”을 확정하였다.
본 계획은 상위계획인 중앙정부의 '제3차 관광개발 기본계획(2012~2021)'과의 정합성을 유지하면서 경북이 지닌 신라, 유교, 가야 등 3대 문화권과 백두대간, 동해안, 낙동강 등이 어우러진 녹색자원, 화랑, 선비(양반), 새마을, 불교문화 등 한국정신문화를 활용한 새로운 발전전략을 제시하였다.
특히 경북의 역사적 정체성과 한국관광 발전을 선도하는 경북관광의 위상과 각종 국내·외 정책동향, 관광트랜드를 감안하여 경북관광의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였다. 향후 경북은 ‘한국의 대표 관광지역으로 한국에서 가장 한국적인 것을 체험할 수 있는 곳’이라는 Korea in korea라는 미래상을 설정하였다.
이에 따른 경북관광의 비전을 ‘전통과 자연, 인간이 빚어낸 한국 대표 문화관광지대’로 설정하였다. 즉, 한국 속 한국체험지대를 실현할 수 있는 전통·문화적 여건을 토대로 천혜의 자연자원을 융·복합하여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즐겨 찾고 만들어 가는 글로벌 문화관광지대로 조성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4대 목표는 글로벌 수준의 명품 관광자원개발, 누구나 공감하는 관광브랜드 창조, 삶의 질을 높이는 관광일자리 창출, 문화·생태 융합형 Fun 콘텐츠 발굴로 설정하였다.
| 
| | ↑↑ 제5차 경북권 관광개발계획도 | ⓒ 경북제일신문 | | 특히 기존계획의 검토와 더불어 방문객 여행경로, 주말 교통량, 지자체 정책추진 의지 등을 종합적으로 반영한 새로운 방식의 권역구분을 제시하였다. 이에 따라 경상북도를 백두대간 전통관광권, 낙동강 수변관광권, 동해안 역사관광권, 대도시 여가관광권 등 4대 관광권역으로 설정하고, 권역별 특화기능과 개발방향을 설정하였다.
경북은 본 계획을 통해 2016년에 관광(단)지 38개소와 관광호텔 및 콘도미니엄 15,600객실, 문화관광해설사 600명, 사회적 기업 20개 등 관광일자리를 창출한다고 밝혔다.
경상북도는 향후 5년간 순차적으로 금번 권역계획에 따른 ‘선택과 집중’의 원칙 하에 총 4조 5,475억 원(민자 1조 4,127억 원)을 투입한다. 이에 따른 경제적 파급효과는 2016년의 경우 생산유발효과 1조 5,606억 원, 부가가치유발효과 5,498억 원, 고용유발효과 11,000명을 창출한다.
경상북도 김상준 문화관광체육국장은 “향후 경북의 미래 먹거리산업으로서 관광산업 발전에 행정적 제도적 지원을 통해 재미있고 매력적인 관광콘텐츠를 집중적으로 육성한다는 강한 추진 의지를 피력했고, 이와 더불어 지역주민과 관광객이 행복과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관광수용태세를 확립하고, 관광 일자리를 창출한다는 의견”을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