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28민주운동정신 계승 위한 기념회관 개관
|
- 2.28민주운동기념회관 개관 행사 -
|
2013년 02월 26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와 (사)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공동의장 김범일, 이광조)는 제53주년 2・28민주운동 기념일을 맞아 기념식을 겸한 2・28민주운동기념회관 개관 행사를 개최한다.

| 
| | ⓒ 경북제일신문 | 제53주년 기념식은 2월 28일 오전 11시, 2․28민주운동 관련 인사, 지역기관 단체장, 회원 등 5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대구명덕초등학교 강당에서 개최하고 강당과 인접해 있는 2․28민주운동기념회관에서 현판제막, 테이프 컷팅, 건물 순회 라운딩 등 개관식을 개최한다.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은 시 교육청의 협조로 1960년 2・28민주화운동 현장의 의미가 큰 명덕네거리 인근의 명덕초등학교 부지 일부(1,025㎡)를 확보했다. 총 80억 원(전액 국비)의 사업비로 지상 4층, 지하 1층, 연면적 2,847.98㎡ 규모로 지난 ’11. 7월에 공사를 착공해 ’13. 1월에 전시부문 공사를 포함한 모든 공사를 완료했으며, 지난 2월 22일부터 시범운영을 거쳐 개관식을 갖게 됐다.
2․28민주운동기념회관 정부수립 이후 최초의 민주화 운동으로 평가받고 있는 자랑스러운 2・28민주운동 정신 계승을 위해 1층은 그 당시의 역사적 사료와 체험관과 영상시설 등으로 구성된 전시관과 기획 전시실을 배치했다.
2~3층은 젊은 세대들이 자연스럽게 2․28정신을 이어받을 수 있도록 열람실과 자료실을 갖춘 도서관으로 구성했으며, 4층은 청소년 교육장, 세미나실, 사무실 등 복합 공간으로 구성해 청소년과 시민들의 접근성과 활용도를 높인 것이 특징이다.
특히, 기념회관에 2・28 정신이 녹아들도록 하기 위해 건물 중앙 부분에 중정을 설계에 반영해 두류공원에 있는 2.28기념탑 모형을 축소해 설치하고 건물 앞부분에 설치된 모형탑을 받치고 있는 기단석을 한반도 모형으로 해서 2・28정신이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근간을 만든 정신운동이라는 상징성을 부여했다.
기념회관 앞 화단에 기념동산을 조성하고, 2․28민주운동에 참여한 대구지역 8개 고교의 상징성을 부여하기 위해 느티나무(경북고, 대구농림고), 담쟁이넝쿨(사대부고), 향나무(경북여고), 소나무(대구고, 대구공고), 은행나무(대구상고, 대구여고) 등의 참여학교 교목을 식재하고, 그 당시 회화나무 밑에서 2・28민주운동 참여 결의문을 낭독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회화나무도 식재했다.
앞으로 대구시에서는 우선적으로 교육청의 학생 현장 체험학습과 연계해서 2․28민주운동기념회관 견학을 실시하도록 하고, 골목투어 코스에 반영하는 한편, 장기적으로 삼성상회터→국채보상운동발상지(구 광문사)→박근혜 대통령생가터→2・28민주운동기념회관→국채보상운동기념회관으로이어지는‘가칭’ 「구국의 길」 탐방로드 조성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 일반적인 도서관 프로그램 외에 사람을 한 권의 책으로 개념화한 living library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등 지역 특화도서관으로 운영할 계획이다.
김범일 대구시장은 “2・28민주운동기념회관을 준공・개관함으로써 신라의 화랑정신에서 국채보상운동정신, 6・25동란 시 국가 최후의 보루인 호국정신, 2・28민주운동정신 등으로 이어지는 우리 대구가 우리나라 정체성의 본질과 정신문화의 중심이라는 것을 완성하는 의미”라며 “앞으로 자랑스러운 대구 정신의 계승발전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구시와 2・28민주운동기념사업회에서는 지난 1990년 2월에 당시 명덕네거리에 있던 2・28기념탑을 두류공원으로 확장 이전하고, 지난 2003년 12월에는 중구 공평동 소재 구 중앙초등학교 부지에 2・28기념공원을 조성했으며, 2005. 12월에는 2・28민주운동 지원조례를 제정했다.
2010년 2월 4일에는 2.28민주화운동을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법 제2조 민주화운동의 정의에 반영하는 등 우리나라 민주화 운동의 효시라는 점을 정부로부터 인정받은 바 있다.
또 2・28정신 계승을 위한 ‘횃불지’를 매년 정기적으로 발행하고, 기념음악회와 사진전, 포럼 개최, 초・중・고 학생들을 대상으로 2・28민주화운동 글짓기 공모전을 개최하는 등 다양한 기념사업과 정신문화 계승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