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 박사공무원들, 도정발전 위한 정책방안 제시
|
- 도정시책 연구 발표회 ‘비전21 경북포럼’ 개최 -
|
2013년 10월 31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는 도청 소속 박사공무원 110명으로 구성된 ‘비전21 경북포럼’이 31일부터 이틀간 경주 블루원리조트에서 각 분과위원회별 연구과제를 발표하는 등 한해 동안의 활동실적을 평가하고 2014년 연구과제를 선정하기 위한 2013년 정기포럼을 개최했다.
이번 정기포럼에서는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일본 원전사고로 인한 수산물의 안전성 및 최근 성공적으로 개최 된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의 후속 대책 등 도정현안에 대한 다양한 정책대안 제시와 함께 활발한 토론을 벌였다.
이번, 포럼에서 발표된 정책과제를 살펴보면, 경제행정분과에서는 산림산업과 박정아 박사가 ‘산림관광콘덴츠 개발 및 활용 방안’ 발표를 통해 뉴시니어의 등장, 웰빙관광 확산 등 관광트렌드 변화에 따른 산림관광 콘덴츠 개발과 활용 방안을 제시하여 눈길을 끌었다.
농림분과의 농업기술원 최홍집 박사는 ‘포스트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 농업분야 교류활성화 방안’에서 지난 8.31~9.22 성공적으로 개최된 ‘이스탄불-경주 세계문화엑스포’를 활용하여 경북농업의 유럽진출 관문으로서 터키와의 농업분야 교류 활성화 방안을 제시했다.
수의축산분과에서는 가축위생시험소 김성국 박사가 ‘말 식품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에서 기존의 소, 돼지 위주 축산업의 다변화 필요성을 역설하고 농촌의 신 성장 동력산업으로서 말 식품산업을 대안으로 제시하여 주목을 받았다.
보건환경분과의 민물고기연구센터 윤성민 박사는 ‘도어(道魚) 지정을 통한 수산물 브랜드화’를 통해 도 이미지를 부각하고 도민의 특성을 대표하는 수산물을 도어로 지정하여 해양․수산道로서의 위상 정립과 도어를 통한 다양한 소득원 개발 방안을 제시했다.
과학기술분과의 수산자원개발연구소 유동재 박사는 ‘일본 원전 사고로 인한 수산물 안전성 및 소비 활성화 방안’에서 최근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인한 방사능 해양확산이 국내 해양환경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하고 경북의 수산자원과 소비자 안전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여 큰 호응을 받기도 했다.
비전21 경북포럼은 박사공무원들의 전문지식과 능력을 도정 시책발굴에 접목시키고자 지난 2010년 9월에 경제행정․농림․수의축산․보건환경․과학기술 등 5개 분과위원회로 구성되었으며, 현재 113명의 박사공무원들이 활동하고 있다.
지금까지 4번의 정기포럼과 분과위별 연구활동을 통하여 18개의 정책과제를 제시한 바 있다.
그 중에서도 딸기 신품종 ‘산타’를 개발해 세계 최대 딸기 육묘회사인 ‘유로세밀러스’와 판매권에 관한 계약을 체결, 유로세밀러스가 중국과 일본에서 판매하고 받는 로얄티의 절반을 경북이 받아 연간 2억 원 이상의 수입이 올리고 있는 것은 이들의 연구실적이 구체적인 도정시책으로 연결된 대표적인 사례로 꼽히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