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전국 최고의 치매노인 종합지원체계 구축한다
|
- 치료, 요양 및 복지서비스 제공 등 의료와 복지가 연계된 통합지원체계 -
|
2013년 11월 08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치매노인 보호와 가족의 부양부담 경감을 위해 치매관리법 시행(‘12. 2. 5.) 이전인 지난 2011년 10월에 ’치매노인 지원대책‘을 마련하고, 의료와 복지가 연계된 지역사회 치매노인 종합지원체계 구축에 적극 나서고 있다.
대구의 65세 이상 노인인구는 9월 말 현재 285,509명으로 전체 인구의 11.4%을 차지하고 있으며, 이 중 치매의증 자는 26,000명 정도로 추정된다.(유병율 9.1%적용) 그러나 치매는 의사 또는 한의사의 진단이 필수이므로, 우선적으로 조기검진을 통해 치매여부를 판정받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광역시 최초로 개설한 대구치매관리센터는 2013년부터 2016년까지 노인 20만 명 검진을 목표로 치매조기검진 사업을 확대 추진해 치매실태를 파악할 수 있는 D/B를 구축할 계획이다. 올해는 9월 말까지 63,260명을 검진해 치매확진자 1,464명을 추가 등록 관리하고 있다.
치매판정자에게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 안내, 치료ㆍ관리비 지원, 조호물품․치매인식표를 제공하고, 환자보호를 위한 가족상담, 개인ㆍ집단용 인지재활 프로그램 보급을 병행하고 있다.
치매환자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상의 요양등급(1~3등급)을 받으면 요양시설이나 가정에서 서비스를 받으면서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급하는 요양급여를 받을 수 있다. 9월 말 현재, 230개 요양시설, 590개 재가장기요양기관에서 6,700여 명의 치매노인들이 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다.
요양등급을 받지 못한 치매노인 500여 명에게는 요양보호사가 가정을 방문해 활동보조, 일상생활 등을 지원하는 노인돌봄종합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또 요양보험과 돌봄서비스 등 제도권 보호를 받지 못하는 저소득 치매노인에게는 등급외자 주간보호서비스(100명)를 제공하고, 43개소 시 지정 재가노인지원센터에서는 취약계층 노인에게 개인 맞춤형 재가지원서비스(‘13년 목표 5,000여 명)를 제공하고 있는 데, 신규 서비스 대상자는 치매노인을 우선 발굴해 나가고 있다.
특히, 경증 치매노인은 경제적 여유가 있어도 마땅히 보호할 곳이 없는 현 체계에서 전국 최초로 경증치매 전용 치매노인종합지원시설 4개소를 개설해 150여 명에게 주간보호 및 인지재활치료 등의 예방적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2014년에는 4개소를 추가 설치, 운영할 계획이다.
대구시 이영선 사회복지여성국장은 “치매예방 및 조기검진, 진행단계별 의료지원 서비스와 연계해 요양보험제도 → 돌봄서비스 → 재가지원서비스로 이어지는 치매노인보호 3중 사회안전망을 더욱 강화, 치매문제가 더 이상 가족에게만 맡겨지지 않고 지역사회가 적극 나서서 보호와 부양을 분담하는 통합지원체계를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