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 봉정사·영주 부석사,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 등재
|
- 잠정목록 등재 7개 전통산사, 세계유산에 등재 -
|
2013년 12월 23일 [경북제일신문] 
|
|
| 
| | ↑↑ 안동 봉정사, 영주 부석사 | ⓒ 경북제일신문 | | 문화재청은 안동봉정사와 영주 부석사를 포함한 한국의 전통산사(7개)가 유네스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 되었다고 밝혔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총 18건의 세계유산 잠정목록(문화유산 14건, 자연유산 4건)을 보유하게 되었으며, 안동시는 도산서원과 병산서원을 비롯하여 봉정사까지 모두 2건의 잠정목록을 갖게 되었다.
이번에 잠정목록으로 등재된 7개 사찰의 공통적 특징은 조선시대 이전에 창건하여 현재까지 유지되고 있는 500년 이상의 고찰(古刹)로써 도시가 아닌 지방, 평야지대가 아닌 산곡 간의 경사지나 분지에 입지함으로써 지형적 질서에 순응하고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또한 개별 사찰들이 화엄, 법상, 선종 등 다양한 불교사적 역사를 가졌으나, 조선시대를 거치면서 선 우선의 선교융합, 교리와 신앙의 복합 등 종합화 양상을 취하고 있으며 예불, 강학, 참선, 공동생활이 복합되어 불전, 강당, 선방, 승방 등이 공존하는 종합 수행도량의 역할을 하고 있다.
또 사회적 측면에서는 조선시대의 국가적 억불과 배불정책, 사회적 무관심과 냉대 속에서도 불교의 신앙적 전통을 유지․계승하려는 자율적, 자발적 노력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문화유산을 보존, 창조해 지금에 이른 조선시대 유교사회 속에서 종합 수행도량 성격을 지닌 산간 불교사원이다.
이들 산사는 사찰 건축 양식, 공간 배치 등에서 인도 유래 불교의 원형을 유지하고 중국적인 요소를 계승하면서도 우리나라의 토착성을 보여주는 동아시아 불교문화 교류의 증거가 되고, 산지에 입지하여 내․외부 공간이 주변 자연과 조화를 이루고, 우리나라 불교의 사상․의식․생활․문화 등을 현재까지 계승하고 있다는 점 등에서 유산적 가치가 높게 인정되었다.
세계유산 잠정목록이란, ‘세계문화유산 및 자연유산보호에 관한 협약’ 및 동 협약의 이행지침에 의거하여 운영되는 제도로 각국이 세계유산으로 등재될 가치가 있다고 판단한 유산에 대해 이행지침에 의거한 소정의 신청서를 제출하면 유네스코 사무국의 심사를 거쳐 잠정목록으로 등재하는 제도이다.
탁월한 보편적 가치(OUV, Outstanding Universal Value)가 있는 유산들을 충분한 연구와 자료 축적 등을 통해 앞으로 세계유산으로 등재하도록 하기 위한 예비목록이다. 최소 1년 전까지 잠정목록에 등재된 유산만 세계유산 신청 자격이 주어진다.
※ 잠정목록 등재 7개 사찰
봉정사(경북 안동), 부석사(경북 영주), 법주사(충북 보은), 마곡사(충남 공주), 대흥사(전남 해남), 선암사(전남 순천), 통도사(경남 양산)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