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4 성황리에 폐막
|
- 전통의 힘과 창작의 가능성을 확인한 축제 -
|
2014년 10월 05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동물의 왕 사자도 춤추게 하는 열정의 축제를 만들어 가고자 '두근두근 사자(Jumping Pumping Lion)'를 주제로 세계인의 신명과 흥, 열정을 안동으로 모았던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2014 & 제43회 안동민속축제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인구 17만의 중소도시 안동에서 지역 문화의 역량만으로 세계적인 축제를 성공적으로 개최했다는 평가와 함께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세계적 축제반열에 올랐다는 평을 얻고 있다.
올 축제에는 외국인 지난해(2013년 4만 2천여 명)와 비슷한 4만 2천여 명을 포함해 총 110만(2013년 98만)여 명의 관광객이 다녀가는 성황을 이뤘다. 아시아경기대회와 일정이 겹쳤음에도 불구하고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은 지난해 대비 12% 증가했고, 외교부의 주선으로 사천성 천극원과 MOU를 체결함에 따라 일절 항공료 지원 없이 안동에서의 체제비만 지급한다는 외국 공연단 초청의 원칙을 지키면서도 수준 높은 공연단을 초청할 수 있는 기회도 열렸다.
| 
| | ↑↑ 하회별신굿탈놀이 공연 | ⓒ 경북제일신문 | | 또한, 문화체육관광부 해외문화홍보원 주관으로 한국특집다큐멘터리 제작을 위해 방문한 멕시코와 홍콩, 그리스, 인도, 미얀마 등 7개 매체 18명의 취재진과 함께 중국 사천성 희극 채널인 CGTV, 사천일보와 일본 규슈 TVQ 등의 언론사들이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취재했다.
휴일이면 탈춤공연장 입장을 위한 대기행렬이 300m나 늘어서는 등 축제장은 발 디딜 틈 없는 북새통을 이뤘다. 각 공연장마다 성황을 이루며 올해는 전년도보다 많은 2억원 이상(2013년 1억9,715만)의 입장권 수입을 거둘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 
| | ↑↑ 차전놀이 | ⓒ 경북제일신문 | | 올해 축제는 지난 17년간 축적된 탈 콘텐츠를 기반으로 축제 주제에 맞춘 다양한 탈조형물이 제작됐으며, 탈춤공연장 진입로에 100여 점의 탈 조형물로 ‘탈조형물존’을 조성해 축제장을 찾은 관광객들에게 다양한 볼거리와 포토존을 제공했다.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은 매년 다양한 탈과 탈춤에 관련된 자료를 축적하고 있으며 축제를 통해 새로운 문화콘텐츠로 재생산하면서 문화자산의 순기능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그대로 본 떠 2009년부터 시작한 인도네시아 솔로국제예술축제 관계자가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축제 노하우를 배우기 위해 문화교육부 실무자들과 함께 안동국제탈춤페스티벌을 찾았으며 2007년 솔로 시장 재임 시 안동을 찾았던 조코 위도도가 인도네시아 대통령으로 당선되면서 솔로국제예술축제의 명성도 드높아진 것으로 보여 문화외교의 장으로서 축제의 가치가 드러났다.
| 
| | ↑↑ 중국산둥성 공연 | ⓒ 경북제일신문 | | 특히 탈춤축제는 일절 외부인력 없이 순수 지역문화인들의 힘으로 꾸며가는 축제로 지역문화 인력양성 뿐만 아니라 축제를 통해 경험을 쌓아 타 지역으로 진출하는 교두보가 되고 있다. 축제 전체 기획에서부터 연출, 하드웨어(조명, 무대, 음향) 등을 지역전문가들이 이끌며 지역문화역량과 축제역량이 함께 커가는 축제로 그 명성을 높여가고 있다.
13개 분야 42명의 각 무대 기획과 연출, 마스크샵, 축제 조형물, 팔각 부조 등 축제 디자인 57명, 음향과 무대, 조명 등 축제 하드웨어 시스템 92명, 탈 만들기와 탈춤 따라배우기 등의 탈놀이 강사 70명, 축제장 내 자원봉사 인력 2만명 등 2만 3백여 명의 지역민이 열흘간 서로간의 소통을 통해 명실상부한 세계적 축제를 만들어 가고 있다.
열흘간 진행된 축제에는 멕시코와 인도네시아, 스리랑카, 베트남, 말레이시아 등 해외 10개국 14개 단체의 공연과 국내 무형문화재 12개 탈춤, 3개의 지역 연출 마당극, 100여 팀의 자유참가작이 함께 했다. 특히 지역에서 생산돼 지역특산물을 홍보하는 ‘웅부뎐’, 축제 주제공연 ‘점핑펌핑라이언’은 지역에서 생산된 공연의 지역 소비에 대한 가능성을 열었다는데서 큰 의미가 있다.
| 
| | ↑↑ 오키나와사자춤 | ⓒ 경북제일신문 | | 또한, 탈을 만드는데 만 집중했던 탈춤페스티벌 미술대전의 창작탈 공모전의 경연 방식을 '나의 탈, 나의 마스크'로 바꿔 자신이 만든 탈을 스토리텔링하고 이를 축제장에서 발표함으로써 잠재 축제 인력 확보에도 노력하고 있다는 평이다.
뿐만 아니라 지역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민속문화를 선보인 제43회 안동민속축제에도 총 41가지의 민속행사가 다채롭고 화려하게 꾸며졌다. 민속축제에는 안동에서만 볼 수 있는 전통성을 기반으로 축제의 막을 여는 서제를 비롯해 전통혼례, 양로연, 놋다리밟기, 차전놀이 등 전통의 미가 가미된 다양한 볼거리를 보여줘 전통문화도시 안동의 이미지를 대내외에 알리는데 큰 역할을 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