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 유치
|
2015년 03월 08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그 동안 타 시·도와 치열한 경쟁을 벌여왔던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 유치’(이하 제3센터) 사업의 최적지로 대구시가 최종 선정되었다고 8일 밝혔다.
이 사업은 대통령 핵심공약사항인 ‘SW융합산업클러스터 활성화’ 사업과 지역ICT산업 발전 등 지역경제 활성화 거점역할을 위한 핵심 앵커기관으로 ‘제3센터’를 유치하는 것이 필수적이라는 판단아래, 2013년 1월 대구시가 대통령 인수위에 ‘제3센터 대구유치’를 건의하면서 지방자치단체 중 가장 먼저 시작하였다.
제3센터는 일반 민간 전산센터와는 달리 국가보안시설로 특히 보안성이 중요한데, 대구시는 휴전선과 해안선에서 충분히 이격된 분지형 내륙 도시로 보안성이 뛰어나며, 자연재해 노출도가 낮고 소방방재청에서 실시한 지자체지역안전도 평가 1등급 도시로 안전성이 높으며 특히, 유치 예정지는 팔공산 자락에 위치하고 있어 시내보다 평균기온이 3~4°C 낮아 전산센터 입지로는 최적지라는 평가를 받았다.
정부통합전산센터는 정부기관의 서버, 스토리지, 네트워크, 보안장비 등 정보자원을 통합운영․관리하는 안전행정부 산하 기관으로, 현재 운영 중인 제1센터(대전), 제2센터(광주) 전산실 사용 면적이 2017년 초에는 포화상태가 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행정자치부에서 ’제3 정부통합전산센터‘건립을 추진하고 있다.
대구시가 제3센터를 유치함으로써, 대구경제에 미치는 파급효과는 직·간접 효과를 통합하여 생산유발은 7,074억원, 부가가치유발은 2,008억원, 고용유발은 4,269명정도 발생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13.10 대경연)
정성적 측면의 효과도 상당할 것으로 예측되는데, 제3센터에는 600여명의 상주인력이 근무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가족 등을 포함한 4,000여명의직·간접적인 인구유입과 센터 운영을 위한 단기 프로젝트, 유지보수 등의 수요에 따른 지역ICT기업 고용창출과 소득증대, 관련분야 우수 인재의 결집과 지역인재 유출감소에도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제3정부통합전산센터 대구 유치는 대선공약사업인 ‘SW융합산업 클러스터’ 조성사업과 ‘연암드림앨리’(경북도청 이전 터) 조성사업 등과 연계한 지역 ICT산업 활성화에 크게 기여할 뿐만 아니라, 국가적 측면에서도 대전-광주-대구를 잇는 국가과학기술 및 데이터삼각벨트 구축으로 ICT기반 창조경제 생태계 조성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라고 말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