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박근혜 대통령 경주 월성 방문…경북도 문화융성 탄력
|
2015년 09월 07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7일 박근혜 대통령의 전격적인 경주 방문으로 신라왕경 복원정비 사업을 비롯해 경북도의 문화융성전략이 더욱 탄력을 받을 전망이다.
이날 오후 박 대통령은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 사업 현장인 경주 ‘월성’을 둘러 봤다.
이 자리에서 박 대통령은 신라왕경 복원‧정비 사업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관계자들을 일일이 격려했다.
고대 신라의 834년간의 왕궁터로 세계적인 유적으로 평가받고 있는 사적 제16호 ‘월성’은 신라의 중심적인 궁성지다. 이러한 ‘월성’의 복원은 박근혜 대통령의 대선공약 사업인 ‘신라왕경 8대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 중의 하나다.
신라왕경 핵심유적 복원․정비사업은 2014년부터 20년간 월성(신라왕궁)․황룡사 복원 등 8개 사업에 9,450억 원이 투입된다.
이 자리에서 나선화 문화재청장으로부터 월성 복원 현황을 보고받은 박 대통령은 신라천년의 왕궁을 복원하는 일은 문화적 자존을 회복하는 일이라면서, 철저한 고증을 거쳐 완벽한 복원이 될 수 있도록 노력해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렇게 대통령이 천년신라의 자부심이 담겨있는 ‘월성’을 방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박정희 대통령이 1962년 4월 29일 국가재건최고회의 의장 시절 육영수 여사와 함께 ‘월성’에서 열린 제1회 신라문화제 개막식 참석차 방문한 적은 있었다.
한편, ‘월성’은 경주시민들에게는 ‘반월성’으로 더 잘 알려진 곳이다. 초중고생들의 단골 소풍 장소, 석빙고가 있는 곳 정도로 인식하고 있다.
실제로 ‘월성’은 천년신라의 핵심적인 유적이다. BC 57년에 건국한 신라는 158년 후인 AD 101년에 본궁을 금성에서 이곳 월성으로 옮겨온다. 그 이후 935년 신라가 쇠망할 때까지 834년 간 신라왕궁이 있던 자리다.
삼국통일 이후에는 왕궁의 영역이 더욱 넓어진다. 안압지, 임해전, 첨성대 일원으로까지 월성으로 편입됐다.
이렇게 800년이 넘도록 단일 왕조가 한 곳에 왕궁을 두고 사용한 사례는 찾기 어렵다. 고고학계와 역사학계는 독특한 사례로서 세계적인 유적으로 평가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