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하회마을 충효당 길사 40년 만에 다시 열려
|
2015년 10월 30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한국의 역사마을’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된 하회마을의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 선생의 종택(宗宅)인 충효당에서는 30일 종가 대청에서 길사(吉祀)를 봉행했다.
이번 길사는 서애(西厓) 류성룡(柳成龍)의 15세손인 류창해(柳昌海, 58)씨가 지난 9월 18일 부친 류영하(寧夏)공의 기년상((朞年喪)을 마치고, 서애(西厓)와 4대 선조에게 차례로 충효당의 새 종손이 되었음을 고유(告由)하는 제사이다. 충효당은 지난 1975년에 길사가 있었다. 당시 시영(時泳)공의 3년상을 마친 영하(寧夏)공은 충효당 종손의 계보를 잇는 의미의 길사를 치른 바 있다. 당시의 종손 영하(寧夏)공이 졸(卒)하고 그의 아들 창해(昌海)씨가 새종손이 된다는 의미의 길사가 40년 만에 다시 치러지는 것이다.
이처럼 길사(吉祀)는 평생 동안 한번 보면 다행이라고 할 만큼 매우 귀한 제사이다. 각종 제사(祭祀)가 고인의 뜻을 기리는 엄숙한 분위기 속에서 치러지지만 길사(吉祀)는 말 그대로 즐거운 마음으로 축하와 덕담을 주고받으며 지내는 제사라는 점도 일반 제사와는 차이가 있다. 길사에는 많은 후손 및 문중원 그리고 선조의 세의(世誼)를 앞세운 후예(後裔)들이 망라하여 참석한다. 또 길사(吉祀)에 소요되는 경비는 문중에서 부담하며 당일에는 문중의 큰 축제가 되고 이를 통해 문중의 정체성과 긍지, 자부심을 고취하기도 한다.
길사를 지내게 되는 가장 큰 목적은 종가를 지켜가기 위함이다. 종택(宗宅)과 종손(宗孫)은 한 가문(家門)의 상징으로 종손․종부가 사는 곳을 종택(宗宅)이라 하며, 명문가를 자처하는 가문은 종택을 중심으로 선조들이 남긴 학문적 성과와 위업을 지키고 이어가는데 모든 문중의 역량을 다한다.
또 종가는 조상의 위패를 모시는 신성공간인 사당(祀堂)을 가지며, 사당 안에 감실(龕室)을 두고 조상의 신주를 모신다. 이렇게 모신 신주는 조상이 살아계신 듯 경건하고 신성하게 보호되며, 조상의 기일이 되면 성심을 다해 제사를 받들고 찾아오는 손님을 한 치의 소홀함 없이 정성을 다해 모신다. 이를 ‘봉제사(奉祭祀) 접빈객(接賓客)’의 전통으로 정의하며, 이는 곧 안동문화의 특징으로 이해되고 안동을 가장 안동답게 설명하는 관용어가 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