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 영양군에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개원
|
- 멸종위기 야생생물 증식·복원의 중추적 역할 기대 -
|
2018년 10월 31일 [경북제일신문] 
|
|
| 
| | ⓒ 경북제일신문 | | 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은 경상북도 영양군 영양읍 대천리 일대에 멸종위기종복원센터를 설치하고, 이곳에서 31일 개원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개원식에는 환경부, 경북도, 영양군 등 유관기관 관계자를 비롯해 주민 등 약 400명이 참석했다.
이번에 개원한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지난 2015년 3월 착공하여 2017년 8월 주요 건물을 완공했고 건립비는 총 764억 원이 투입됐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앞으로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의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주요 업무는 멸종위기종 분포 조사부터 종 복원 기술개발, 증식·복원 및 사후관리이며, 멸종위기종 복원의 전 과정에 대한 총괄 기능을 가진다.
아울러, 멸종위기 야생생물 분류군별 복원 안내지침서와 서식지 보전에 기반을 둔 종별 복원 전략을 수립하고, 복원연구 및 기술개발·보급 등의 기능도 수행한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의 전체 부지면적은 255만m2로 축구장 358개를 합친 크기이며, 부지 내에 연면적 1만 6,029㎡ 규모의 연구, 증식·복원 및 부대 시설을 갖추고 있다.
주요시설로는 증식·복원을 위한 연구실, 실험실, 조직배양실, 종자보관실이 있다.
야생동물의 자연적응을 위한 야외적응훈련장과 대형조류가 날 수 있는 실외방사장 및 활강연습장이 있다. 곤충 및 식물 증식을 위한 온실 등도 마련됐다.
멸종위기종복원센터는 이번 개원식에 맞춰 올해 내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인 여울마자, 황새, 수달, 나도풍란과 멸종위기 야생생물 Ⅱ급인 양비둘기, 참달팽이, 금개구리 총 7종의 종을 시작으로, 지금까지 증식·복원 사업이 이뤄지지 않았던 멸종위기 야생생물을 복원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멸종위기종복원센터에 종 보전의 지휘본부(컨트롤타워)의 기능을 부여함으로써 종 보전 정책에 대한 협업과 조정 등 통합 관리적인 측면을 강화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국립공원, 서식지외 보전기관, 민간연구소 등 다양한 종 복원 주체 간 유기적 협력을 이끌어내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사업의 성과를 높여 줄 것을 기대하고 있다.
박용목 국립생태원장은 “멸종위기종복원센터 개원으로 한반도 생물다양성과 생태계의 건강성 회복이 빨라질 것으로 기대된다”라면서, “국민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도록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서식지 보전과 증식‧복원에 최선을 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