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도화새우 국내 첫 종자생산 성공
|
2018년 04월 11일 [경북제일신문] 
|
|
| 
| | ↑↑ 어미 도화새우 | ⓒ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 수산자원연구소는 일명 ‘독도 새우’로 잘 알려진 동해 특산 ‘도화새우’를 올해 국내 처음으로 종자생산에 성공, 현재 12만마리를 사육중이라고 밝혔다.
도화새우는 전체 몸길이가 최대 25㎝ 정도까지 자라는 대형 새우류로 우리나라 동해의 울릉도 독도 해역을 비롯해 베링해, 오호츠크해 등 수심 150~300m 정도에 서식하는 대표적 한해성(寒海性) 새우다.
또한, 몸길이 20㎝이상의 대형개체는 ㎏당 20만원 이상(마리당 15천원 이상)을 호가하는 고급 새우류로 작년 도날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방한했을 때 ‘독도새우’라는 이름으로 청와대 환영만찬에 올라 유명세를 탄 새우다.
일반적으로 ‘독도새우’라 하면 동해 독도 인근 해역에서 잡히는 새우류로 물렁가시붉은새우(일명:꽃새우, 홍새우), 가시배새우(일명:닭새우), 도화새우(일명:대하) 3종을 통칭해서 독도새우라 부른다.
연구소에서는 2013년부터 독도 새우류의 일종인 물렁가시붉은새우 종자생산 연구를 시작하여 매년 5만~10만마리 정도를 생산․방류하고 있으며, 지난해부터는 국민적 관심이 높은 도화새우의 어미확보 및 기초 번식생태 연구에 돌입하여 올해 국내에서는 처음으로 대량 종자생산에 성공했다.
우리나라 서해안에서 일반적으로 양식이 이루어지고 있는 ‘대하’는 약 1년 만에 성장이 끝나고 1년이 지나면 산란이 가능하며 암컷 한 마리가 약 60만개의 알을 가지고 있어 대량생산이 용이하다.
하지만, 동해의 도화새우는 성장이 매우 느리고 처음 4년까지는 수컷이었다가 5년째 암컷으로 성전환하며, 알을 품는 포란수도 개체 당 5천개 정도로 적다.
또한, 수심 150m 이상 수온 5℃ 정도의 저수온 환경에 서식하기 때문에 실내에서 인위적으로 종자생산을 하기에는 많은 어려움이 있다.
연구소는 지난 2016년에 이러한 한해성 품종을 전문적으로 연구하기 위하여 연구소 내 ‘한해성 특화품종 연구센터’를 건립하였으며, 이곳에서 도화새우의 사육 수온을 저수온(5℃)으로 유지 하면서 기존에 축적된 새우류 종자생산 기술을 바탕으로 적정 사육환경 및 먹이 등을 규명하는 등 종자생산 기술을 개발, 현재는 어린 도화새우 12만마리를 사육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