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보호사업 완료 -안동
|
- 소나무 군락의 아름다운 자태로 사진 동호회, 작가들 포토 존 각광 -
|
2009년 08월 19일 [경북제일신문] 
|
|
2007년 12월 명승 제26호로 지정되어 국가로부터 보호를 받고 있는 안동 백운정 및 개호송 숲 보호사업이 완료되었다.
안동시는 지난해 12월부터 소나무 숲 정비사업을 위해 사업비 7천만 원을 투입해 경쟁목 및 고사지 제거, 수관 조절, 재선충 방제, 지지목 설치 등의 소나무 생육환경 개선사업을 중점 시행했다.
강 건너편 백운정과 반변천 수중에 조성되어 있는 반월형 섬 위의 소나무 숲인 개호송 숲, 강가를 따라 조성된 내앞마을, 반변천과 강가의 기암과 단애, 천변 숲이 한 눈에 펼쳐져 아름다운 자연 경관을 자아낼 뿐만 아니라 조선시대 대표적인 씨족 촌락의 모습을 보여주는 역사적 가치가 큰 명승지이다.
임하댐 보조댐 내 백운정(경상북도 문화재자료 제175호)은 1568년에 세운 정자로 반변천 강 언덕 위에서 내앞마을과 개호송 숲이 한 폭의 경관으로 조망되는 지점에 위치해 전통적 유교문화 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탁월한 조망점 역할을 하고 있는 정자다.
| 
| | ↑↑ 개호송 숲 | ⓒ 경북제일신문 | | ‘개호송(開湖松) 숲’은 조선 성종 무렵에 내앞마을 앞 수구(水口)의 허술함을 메우기 위해 조성한 것으로 임진왜란 직후인 선조 38년(1605년) 대홍수 때 유실된 것을 운천 김용 선생의 발의로 다시 조성한 숲이다.
이 숲은 완만한 모래사장에 달빛이 비추는 ‘완사명월형(浣沙明月形)’ 혹은 소가 누워 풀을 되새김하는 ‘와우형(蝸牛形)’으로 알려져 있는 내앞 마을 풍수형국의 모자람을 채우기 위한 비보림(裨補林) 역할을 위해 조성, 보호하여 온 오랜 역사를 간직하고 있는 마을 숲이기도 하다.
안동시는 이번 백운정 및 개호송 숲 보호사업이 완료됨에 따라 소나무 향기뿐만 아니라 소나무의 정취를 찾아 사진 동호인이나 사진작가들이 찾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명승 및 수목 문화재에 대한 지속적인 보호사업을 펼칠 계획이다.
한편, 안동에는 소나무와 함께 한 폭으로 어우러져 있는 전통적 유교문화 경관을 체험할 수 있는 곳으로 하회마을 ‘만세송’과 학가산 ‘김 삿갓 송’ 및 ‘개호 송 숲’이 있어 안동의 소나무를 그림에 담기위해 많은 작가들이 안동을 찾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