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도, ‘가공용 쌀 계약 재배’ 탄력 받아
|
- 9개소 총652ha 규모, 술, 빵, 식초, 떡 등 종류도 다양화 -
|
2010년 08월 06일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의 ‘가공용 쌀 계약재배’ 정책이 탄력을 받고 있다. 도에 따르면 2010년 10ha(정곡기준 5톤) 이상 규모의 가공용 계약재배 단지는 총 9개소 652ha이르며, 소규모 단지를 포함하면 그 규모는 훨씬 클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른 시장격리 효과는 5천톤 이상이 될 것으로 추정된다.
| 
| | ⓒ 경북제일신문 | | 재고누적으로 인한 쌀값 불안정과 이로 인한 농가소득 감소, 농촌경제 침체라는 악순환의 고리를 끊고 농가에게는 "안정적인 판로", 기업에게는 "원료 공급원 확보"라는 상호 WIN-WIN 모델로 중앙정부는 물론 전국에서 유일하게 “가공용 쌀 계약재배” 라는 정책을 새롭게 도입한 경상북도로서는 가뭄에 단비 같은 소식이다.
규모면에서뿐만 아니라 즉석밥, 식초, 빵, 술, 떡 등 종류도 다양화 되고 있고, CJ제일제당, 삼립식품, 떡파는 사람들, 국순당 등 국내 업계 대표기업과의 계약으로 신뢰성을 기반으로 한 안정적인 가격보장과 판로확보로 질적인 면에서도 긍정적 평가를 내리고 있다.
이에 경상북도는 2014년 조성목표를 4,000ha로 상향조정하여 2만톤 정도의 물량을 밥쌀용 시장과 완전격리 시킨다는 계획 아래 관련 세부추진계획을 일선 시․군에 시달했다.
또한 일부 오해가 있는 밥쌀용 시장의 포기라는 지적에 대해서는 “가공용 쌀 재배는 논의 형상은 그대로 유지한 채 식량위기(부족)시에는 항시 밥쌀용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는 점에서 우려하지 않아도 된다” 고 밝혔다.
우리나라보다 먼저 공급과잉 문제를 겪은 일본 또한 현재 논의 이용구상을 주식용(밥쌀용) 60%, 40%는 자급율이 낮은 곡물 또는 가공용 쌀 등으로 이용한다는 정책방안을 내놓고 있으며, 국가차원의 재정적 지원까지 하고 있다.
경북도 관계자는 수급 불안정의 구조적 악순환을 거듭하고 있는 쌀산업 정책의 대전환점 모색을 민선5기 농정의 핵심과제로 삼고, ‘가공용 쌀 재배단지’ 조성은 경북도가 전국에서 유일하게 도입한 정책 모델인 만큼 국내 쌀산업 발전의 초석으로 자리매김하고 지역 농업인들에게 작은 희망이 될 수 있도록 반드시 성공시켜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