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해안 난바다 곤쟁이 돈 된다
|
- 포항시 호미곶 일대 새로운 어획 소득원 주목 -
|
2010년 11월 15일 [경북제일신문] 
|
|
| 
| | ↑↑ 조업체계도 | ⓒ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는 매년 경북 호미곶 연안을 중심으로 대량 군집을 이루는 난바다곤쟁이 자원에 대한 이용 가능성을 높게 평가하고 합법적인 조업방법 등을 적극 검토하기로 했다.
올 3월부터 8월까지 동해수산연구소와 동해안 난바다곤쟁이 자원조사를 실시한 결과 설명회를 지난 11월 8일 호미곶 현지에서 농식품부, 도, 포항시, 어업인 등 관계자 3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개최했다.
이날 참석자 모두가 지속적인 자원관리 모니터링은 계속하되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자원밀도 및 자원량중 생물학적허용어획량(ABC : Acceptable Blolglcal Catch)이 2천~3천톤으로 추정됨에 따라 최종 결과보고가 나오는대로 내년부터는 한시어업으로 합법적인 어업허가 처분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했다.
난바다 곤쟁이는 절지동물문 갑각강에 속하는 작은 새우류이다. 매우 중요한 해양생태계의 먹이 생물로 남극에 많이 서식하는 크릴새우류의 대표종이다.
40여년 전부터 관행적으로 4월에서 6월경까지 중심어장인 포항시 호미곶면 대보항 인근해역에서 족대(뜰채)를 이용 포획된 난바다 곤쟁이는 낚시 밑밥용, 양식장 사료용 또는 식용(젓갈)으로 이용해 왔지만 2007년에 포획방법 및 어구가 불법으로 분류되어 불법어업으로 단속되는 등 지금까지 합법화 되지 못했다.
경북도에서는 어한기 한시적 어업소득을 위해 지난 4월에 난바다 곤쟁이 시험어업 추진 협의회를 개최 올해 58척에 대해 시험어업을 승인하는 등 지역의 새로운 소득원 확보와 민원 해결을 위해 최선을 다해 왔다.
경북도 관계자는 한시어업허가를 통해 본격적 조업이 이루어지면 매년 약 3천여톤을 어획, 10억여원의 어획소득을 올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으며, 앞으로도 어업인이 요구하는 현장의 목소리를 최대한 수용하는 한편 소규모 어업의 새로운 소득원 확보 및 고질적인 민원해소를 위한 지원과 해결 방안을 적극 모색해 나갈 방침이라고 말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