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경북이 귀농가구·귀촌자수 전국 최고
|
- 귀농가구 1,112가구, 귀촌자수 2,538명으로 전국 최다 -
|
2011년 04월 22일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는 2010년도 경상북도의 귀농․귀촌자 수를 전국 4,067가구 9,732명 중 27.3%를 차지하는 1,112가구 2,538명으로 전국 최고인 것으로 밝혔다. 이는 2009년도 1,118가구(전국의 27.4%)로 2년 연속 전국 최고의 수준에 달하여 경북지역이 귀농 최적지임이 입증되었다.
귀농․귀촌 내용을 살펴보면, 연령별로는 50대 438명(39.4%), 40대 334명(30.0%), 60대 169명(15.2%), 30대 140명(12.6%), 30대미만 70대이상은 31명(2.8 %)로 나타나, 농촌과 도시를 경험한 40~50대가 도시에서의 경쟁적인 삶에서 벗어나 다소 여유로운 농촌에서 자신의 삶 찾으려는 것으로 분석된다.
경북도내 시군별 귀농 귀촌자수는 상주가 162가구, 봉화 137가구, 청송 96가구, 안동 94가구, 영주 80가구로 주로 경북 북부권에 집중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귀농 후 농업 주 종사분야는 생산기술이 복잡하지 않으며 초기 자본이 적게 들고 실패확률이 낮은 벼 등 경종분야가 41.4(%)를 차지해 가장 많았고, 과수(35.5%), 원예(6.7%), 축산(4.5%)등이며 귀농 전 직업은 자영업이 374명(33.6%), 사무직 220명(19.8%), 생산직 141명(12.7%), 건설․건축 70명(6.3%) 등으로 나타났다.
경북으로 귀농․귀촌의 증가는 전국적으로 710만명에 달할 것으로 추산되는 55년~63년생들의 은퇴가 본격화되고 있어 제2의 삶을 농촌에서 여유 있게 노후를 준비하겠다는 베이비 부머(baby boomer)들이 다소 귀농․귀촌한 것으로 보인다.
귀농의 선호도가 높은 봉화, 청송, 안동, 영주 등은 경북 북부권 지역은 비교적 타 지역에 비해 저렴한 지가와 청정한 자연환경, 과수, 축산 등 고소득 농산물 재배가 용이한 것이 주 요인인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귀농관련 법률과 도 시․군의 조례제정을 통하여 필요한 재원을 확보하여 지속적으로 추진하였던 중앙정부, 도 및 시․군의 다양한 귀농정책사업이 한 몫을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경북도의 귀농지원대책을 살펴보면, 귀농정착지원사업은 귀농농가의 안정적인 영농정착과 귀농에 따른 경제적인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농업기반시설 설치 및 확충에 최대 500만원을 보조금을 지원한다.
귀농인턴지원사업은 귀농을 희망하는 자가 선도농가에 농업연수를 통해 기본적인 영농기술을 습득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6개월간 매월120만원을 지원하며, 귀농농어업 창업 및 주택구입지원사업은 경종․축산․수산․농어촌 비즈니스 분야 창업자금에 최대 200백만원, 주택 구입 및 신축자금에 최대 40백만원을 3%의 대출금리에 5년거치 10년 분할 상환하는 제도 등이 있다.
또한 도시민 농촌유치 지원 프로그램 운영, 경북 농민사관학교 귀농인 영농정착과정 뿐만 아니라 시․군 자체사업으로 귀농자들에게 이사비용․귀농정착금․주택수리비 지원, 농지구입시 취․등록세 면제 및 귀농 영농교육비 지원 등 다양한 귀농 지원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