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동해안 우렁쉥이 폐사방지 돌파구 마련
|
- 멍게종묘 입식시기와 수심조절로 폐사예방 및 생산소득 증대 예상 -
|
2011년 11월 01일 [경북제일신문] 
|
|
| 
| | ↑↑ 양식멍게 출하장면 | ⓒ 경북제일신문 | | 경상북도 어업기술센터영덕지소는 최근 폐사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멍게양식장에 새로운 양식기법을 통해 폐사를 획기적으로 줄이고 멍게생산 소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법을 개발하였다고 밝혔다.
이는 기존 멍게양식은 전년 11월에 남해안 종묘를 양성줄에 감아 약 8개월간 바다에서 양성 후 당년 6-7월경에 생산하는 방식으로 주로 멍게가 폐사하는 5-8월경 피해를 많이 입었으나 새로운 양식방법은 종묘입식 시기를 늦추어 당년 3월경에 깊은 바다에(30-40m수층)양성한 후 성장을 억제시켜 주폐사 시기를 안전하게 보낸후 10월경 주성장 수심층(10-15m)에 상승시켜 양성하여 12월초순경 출하시킴으로써 폐사도 줄이고 소득도 올릴 수 있는 방법이다.
멍게는 동해안 양식 어업인들의 주요 소득원으로 매년 20∼100여억원의 생산소득을 올리고 있으며, 관련 종사 어업인도 500∼1,000여명에 이르는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최근 폐사로 인해 그 종사인원도 날로 줄고 있는 실정이다.
경북관내 멍게양식장은 총 218건에 695.5ha가 있으며, 10월 현재 생산량은 960톤으로 전년대비 55%수준을 보이고 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