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음식물쓰레기 감량 우수자치단체 선정
|
- 환경부에서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업성과 인정, 장관상 수상 -
|
2012년 12월 06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올해 환경부에서 역점사업으로 추진하고 있는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업의 성과를 인정받아 ‘음식물쓰레기 감량시책 분야 우수 자치단체’로 선정돼 환경부장관상을 수상하고 부상으로 200만 원을 받았다.
이번 성과는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을 권장하는 환경부의 방침에 따라 대구시가 2012년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업 원년으로 정하고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8개 구·군으로 확대 실시하는 등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발 빠르게 대처한 결과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은 RFID방식, 납부필증 방식으로 시행되고 있으며, 8개 구군과 공동주택 여건에 따라 시행 방식은 선택할 수 있다. 대구시는 RFID방식을 적극 권장하고 있다.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시행 방식
▲ RFID 방식은 RFID기술을 이용해 버릴 때마다 자동으로 무게를 계량하고
수수료를 부과하며 배출정보를 수집하는 방식
▲ 납부필증 방식은 미리 구입한 납부필증을 수거용기에 부착하여 수수료를
부과하는 방식
이 중 RFID방식은 음식물쓰레기를 버린 양만큼 수수료를 부과할 수 있어 음식물쓰레기 감량 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대구 북구의 한 아파트에서는 RFID방식으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시범 실시하면서 40% 가량 음식물쓰레기를 줄인 사례도 있다. 시범결과에 따라 대구시는 8개 지자체별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전면 실시를 위해 주민설명회를 벌이고 적합한 시행방식을 찾아 전면 실시를 최대한 앞당길 계획이다.
대구시의 음식물쓰레기 발생량은 2007년 일일 759t에서 2011년 611t으로 최근 5년 동안 20% 정도가 줄었다. 올해 모든 공동주택에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를 전면적으로 실시하게 되면 음식물쓰레기는 최고 10% 정도가 감량되겠지만 내년부터는 ‘L자형’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그동안 꾸준히 음식물쓰레기 줄이기에 노력해 왔고 배출자인 시민들도 음식물쓰레기 감량방법과 실천에 한계가 있어 감량이 둔화될 것이기 때문이다.
아울러 시에서는 2013년부터 시행되는 음․폐수 해양배출 금지조치에 대비하기 위해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 확충을 추진하고 있다. 총 사업비 689억 원(국비 30%, 지방비 70%)을 들여 확충하는 이 사업은 모든 공정이 순조롭게 진행되어 현재 99%의 공정을 보이고 올해 12월 준공예정이다.
음식물쓰레기 공공처리시설이 본격적으로 가동되면 음식물처리과정에서 발생되는 바이오가스를 포집해 에너지화하는 사업도 추진한다.
대구시 김연수 행정부시장은 “음식물쓰레기 종량제가 경제적으로나 환경적으로 큰 효과가 있는 만큼 내년에도 음식물쓰레기 줄이기 사업을 지속적으로 전개해 나갈 계획”이라며 “대구시 폐기물 자원순환 정책은 ‘지속가능한 자원순환형 도시기반 구축’을 목표로, △폐기물 최소화 △폐기물 자원화 △폐기물 친환경적 처리 등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