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스마트그리드 대표도시’로 도약
|
- 스마트그리드 전문 대기업 간 MOU 체결 -
|
2013년 05월 20일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정부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추진사업 공고 발표를 앞두고 스마트그리드 전문 대기업과 '대구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구축 추진사업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대한민국 스마트그리드 대표도시 만들기에 돌입했다.
세계는 지금 지하자원 고갈과 지구온난화 등으로 심각한 에너지 부족 및 환경 재난을 겪고 있고, 우리나라는 사상 초유의 전력위기에 직면했다. 문제 해결의 방안으로 제시된 스마트그리드 구축 사업은 지난 정부에 이어 현 정부에서도 국정과제로 중점 추진할 정도로 중요한 정책현안이다.
최근 우리나라는 전력위기 상황에서도 일본 후쿠시마 원전사고로 각종 안전성 문제 논란, 발전소 건립 초기 고비용 등의 많은 제약으로 원자력 발전소 추가 건설이 어려운 현실에서 신재생에너지를 2030년까지 11% 달성하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와 강도 높은 에너지 절약 대책으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해 나가고 있다.
이러한 전 세계적 에너지 위기문제 해결 방안으로 제시된 것이 바로 제3차 산업혁명이라 일컫는 스마트그리드이다. 우리나라는 스마트그리드 확산 및 산업화를 위해 지난 정부인 2008년부터 제주도 구좌읍 일대 약 6천호 가구를 대상으로 실증사업을 진행해 왔고 현 정부에서도 2030년까지 국가 단위의 스마트그리드 구축을 목표로 하며, 2016년까지 광역 지자체를 대상으로 순차적으로 거점도시 구축 시행을 국정과제로 추진하고 있다.
| 
| | ⓒ 경북제일신문 | | ※스마트그리드란; 기존 전력망에 정보통신기술(ICT)을 접목한 지능형 전력망, 현재의 전력망은 공급자 중심의 일방향성인데 비해 스마트그리드는 공급자와 수요자간 양방향으로 실시간 정보를 교환할 수 있는 차세대 전력 인프라 시스템
대구시는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를 조기에 구축해 전력절감은 물론 지역 내 신규 일자리 창출 및 신산업 육성을 위해 달성군 강림리 100가구에 ESS 실증사업 완료, 산업단지 태양광 발전시설 설치 등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구축에 매진했다.
특히 6월에 있을 정부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추진사업 공고에 앞서 거점도시 유치를 선점하기 위해 국내 굴지의 전문대기업과「대구 스마트그리드 거점도시 만들기 업무협약」을 5월 21일 오후 3시 시청 상황실에서 체결한다.
- 참여기관 : 현대오토에버, LG CNS, 효성중공업, 대성에너지, DGIST
김범일 시장은 “스마트그리드 거점지구 대구유치는 지역 신성장 동력의 한 축으로 이어질 신산업이 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침체 돼 있는 전국의 에너지 산업에 활력을 불어넣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