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대구시, 탄소배출권 판매로 204억 원 세외수입 증대
|
- 매립가스 자원화로 연간 온실가스 25만톤 감축 -
|
2017년 04월 24일 [경북제일신문] 
|
|
| 
| | ↑↑ <매립가스 자원화시설 전경> | ⓒ 경북제일신문 | | 대구시는 최근 ‘대구 방천리 위생매립장 매립가스 청정개발체제(Clean Development Mechanism, CDM)사업’으로 확보한 탄소배출권 88만톤을 판매하여 약 204억 원의 세외수입을 확보했다.
대구시는 쓰레기 매립으로 발생하는 매립가스를 포집·정제하여 한국지역난방공사 대구지사의 보일러 연료로 공급하는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이 사업으로 연간 5천만㎥의 매립가스를 연료화 하여 16만 배럴의 원유를 대체하고 CDM사업을 통해 25만톤의 탄소배출권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를 거두고 있다.
*(연료대체 효과) 94억 원, 지역난방 1만 5천 세대 공급 열원 생산량
*(탄소배출권) 판매수익 50억 원, 자동차 37만대가 연간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
CDM사업은 교토의정서(`97.12)에 따라 온실가스를 감축한 실적만큼 탄소배출권(CERs)을 발급받아 선진국에 판매할 수 있는 제도로서, 대구시는 `07년 전국 지자체 최초로 매립가스 자원화 사업을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에 등록하였고, 그 간 84만톤의 탄소배출권(CERs)을 유럽 탄소시장에 판매하여 43억 원의 수입을 올린바 있다.
`15년부터 우리나라에서도 온실가스 배출권 거래제가 시행됨에 따라 UN에서 발급받은 탄소배출권(CERs)을 국내 외부사업 인증실적(KOCs)으로 전환하면 국내에서도 판매할 수 있게 되었다.
이번에 판매한 탄소배출권은 `10년 4월부터 `14년 8월까지의 감축실적 98만톤 중 88만톤을 배출권이 부족한 국내기업에 판매한 것이며, 나머지 9만 8천톤은 시 산하기관의 부족한 배출권을 상쇄하는 용도로 활용할 계획이다.
대구시는 앞으로 `27년까지 매년 25만 톤의 탄소배출권을 CDM사업으로 확보할 수 있어, 이를 배출권 시장에 판매할 경우 시 재정확충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또한 지역 기업이 배출권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면 대구시가 배출권이 필요한 지역기업에 우선 판매하여 기업 애로사항을 해소해줄 계획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파리 신기후체제 협정발효로 세계 각국이 자발적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발 빠르게 움직이고 있다”며 “대구시는 폐기물 자원순환, 친환경 첨단산업 육성 및 탄소중립 프로그램 등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사업을 적극 발굴·육성하여 글로벌 기후변화 대응을 선도하고 저탄소 경제시대에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 창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
|
경북제일신문 기자 “밝은 생각 / 좋은 소식” - Copyrights ⓒ경북제일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경북제일신문
기사목록 | 기사제공 : 경북제일신문
|
|
|
|

|
|
실시간
많이본
뉴스
|
|
|
|
|